자기계발
내게 있는 것
최고. 최대가 되어야 한다는 거대주의, 수단 방법을 가이지 않고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는 성공지상주의, 인간의 인격마저 물질로 가늠하는 황금만능주의로 대변되는 황제의 논리, 곧 매머니즘의 경제논리가 지배하는 '물신의 시대'와 그 시대정신을 거슬러 오르라고 갈파하는 깨움의 메시지.
바보 별님
정채봉 동화작가가 쓴 김수환 추기경 이야기. 1993년 5월부터 8월까지 「소년한국일보」에 '저 산 너머'라는 제목으로 연재된 작품으로, 추기경의 뜻에 따라 선종 후 출간되었다. 김수환 추기경이 자신의 성장시절 이야기를 정채봉 작가에게 들려주고, 정채봉 작가가 그 이야기들을 글로 풀어냈다. 1, 2부로 나뉘어 있다. 1부는 3인칭 시점으로, 병인박해(1866년) 때 순교하신 추기경 할아버지 때부터 군위초등학교 5학년 때까지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다. 2부에서는 1인칭 시점으로, 성 유스티노 신학교 시절부터 구술하는 시점, 즉 1993년까지 이야기를 들려준다. 초등학교 입학 전에는 행상 나간 어머니를 기다리며 가졌던 세상에 대한 꿈과 호기심, 신심을 닦는 추기경의 어린 시절 모습, 행상 하시는 어머니를 편안히 모시려고 가졌던 면 소재지의 한 가게 주인이 되겠다는 꿈, 대구교구 장학생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유학 시절, 만주로 가 독립군에 합류하려 했으나 불발로 그친 이야기… 첫 임지인 안동성당에서 어머니께 인삼을 다려드리며 편하게 해드리겠다는 어릴 적 약속을 지킨 이야기, 자신의 품 안에서 마지막 눈을 감으신 어머니에 대한 감동적인 이야기, 이후 7년간 독일 뮌스터 대학 유학 시절의 이야기, 1986년 6월 민주화를 위한 전국사제단의 촛불행진 등의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.